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총정리
서울시가 저출생 문제 해결과 젊은 세대의 주거 안정을 위해 2025년부터 무주택 출산가구에게 최대 720만 원의 주거비를 지원하는 제도를 시행합니다.
특히 육아와 주거비 이중 부담으로 서울을 떠나는 신혼부부·청년 가구를 줄이기 위해 실질적인 경제적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신청 조건, 금액, 기간, 신청방법까지 자세히 안내해 드립니다.
사업 개요
무엇을 지원하나요?
- 지원 내용: 전세 대출이자 또는 월세 실 납부액 지원 (월 최대 30만 원)
- 지원 기간: 기본 2년, 출산 자녀 수에 따라 최대 4년까지 연장
- 총 지원금액: 최대 720만 원 (30만 원 × 24개월)
- 지급 방식: 선지출 후 지원, 6개월 단위 분할 지급 (최대 4회)
예시
월세 60만 원을 납부하는 경우, 실제 납부 증빙 제출 시 월 30만 원씩 6개월 단위로 180만 원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
다음 네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가구가 신청 가능합니다.
1. 출산 시기
- 2025년 1월 1일 ~ 6월 30일 사이 출산한 가구
- 2025년 7월 1일 이후 출산가구는 12월에 별도 접수 예정
- 입양의 경우, 입양 자녀 출생일 기준 48개월 이내
2. 무주택 요건
- 부 또는 모 모두 무주택자여야 함
- 공공임대주택(SH·LH) 입주자는 제외
3. 소득 요건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 (예: 3인 가구 연 소득 약 1억 850만 원 이하)
4. 주거 요건
- 전세보증금 3억 원 이하 또는
- 월세 환산액 130만 원 이하
- 반전세의 경우: 전세보증금 × 5.5% ÷ 12 + 월세 ≤ 130만 원
지원 가능 예시
전세 1억 5천만 원 + 월세 60만 원 = 환산 월세 약 120만 원 → 신청 가능
신청 방법 및 일정
신청 기간
- 2025년 5월 20일(화) 오전 9시 ~ 7월 31일(목)까지
신청 방법
- 서울시 ‘몽땅정보만능키’ 누리집에서 온라인 신청
제출 서류
- 임대차계약서 사본
- 금융거래 확인서 또는 월세 이체증
- 청약홈 주택소유 확인서 (부, 모 각각)
- 가족관계증명서 (부, 모 각각)
지급 절차 및 일정
단계 | 일정 |
---|---|
신청 접수 | 2025년 5월 20일 ~ 7월 31일 |
자격 심사 및 결과 통보 | 2025년 8~9월 |
이의 신청 및 최종 선정 | 2025년 10월 |
주거비 증빙서류 제출 | 2025년 11월 |
첫 번째 지원금 지급 (6개월분) | 2025년 12월 |
※ 이후 6개월 단위로 증빙 제출 후 최대 4회 지급
출산 자녀 수에 따른 지원 연장
출산 유형 | 총 지원 기간 |
---|---|
첫째 출산 | 2년 |
둘째 출산 | 3년 (1년 연장) |
셋째 출산 | 4년 (2년 연장) |
쌍태아 출산 | 3년 |
삼태아 이상 | 4년 |
마무리: 서울에 머물 수 있는 이유
출산 후 이사 걱정 없이 서울에 계속 거주하고 싶은가요? 이번 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은 단순한 복지가 아닌 주거와 육아를 함께 고려한 실질적 정책입니다.
신청 대상에 해당하는 분들은 5월 20일부터 7월 31일까지 서울시 '몽땅정보만능키' 누리집에서 신청하세요. 서류만 잘 준비하시면 최대 72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금 · 돈되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근로장려금 신청 총정리 최대 330만원 받는 방법 (0) | 2025.05.17 |
---|---|
2025 서울시 이룸통장 모집 신청 대상 혜택 중증장애인 지원 (0) | 2025.05.17 |
2025년 정부지원금 25만원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5.05.17 |
두드림적금 최대 7.2% 이자! 고금리 혜택 총정리 (0) | 2025.05.17 |
2025 에너지·가전 지원금 총정리 (5) | 2025.05.14 |